음운의 변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5:19
본문
Download : 음운의 변동.hwp
②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 있으면 사이시옷[ㅅ]을 적어야 한다.【음운의변동】1 , 음운의 변동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음운의 변동.hwp( 68 )
음운의 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③ 사잇소리 현상은 예외가 많아 다음과 같은 합성 명사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뒷갈망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기 볏가리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아랫집
우렁잇속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쳇바퀴
킷값 핏대 햇볕 혓바늘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잇몸 깻묵 냇물 빗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도리깻열 뒷윷 두렛일 뒷일 뒷입맛베갯잇 욧잇 깻잎 나뭇잎 댓잎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머릿방 뱃병 봇둑 사잣밥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집 찻잔
찻종 촛국 콧병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skip)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윗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① 사잇소리 현상은 불규칙해서 일정한 법칙을 찾기가 힘들다.
다.
⑤ 사잇소리 현상이 있고, 없음에 따라 뜻이 분화되기도 한다.
④ 말에 따라서는 사잇소리 현상이 얼어나기도 하고 안 일어나기도 한다.
순서
【음운의변동】1
설명
⑶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경우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⑥ 한자가 모여서 단어를 이룰 때에도 사잇소리 현상이 있따
⑦ ‘방법(方法), 고가(高架), 간단(簡單)’ 등에서와 같이 한자어에서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일이 많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음운의 변동
음운의 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